새콤달콤한 맛과 쫀득한 식감의 조화로 여름하면 생각나는 대표 과일이 바로 망고입니다. 망고는 우리나라에 인기 있는 수입과일 중 하나이죠. 다소 높은 가격으로 매번 사 먹기 부담스러운 망고, 우리나라에서 재배해서 먹으면 가격이 저렴해질 수 있지 않을까요?
기존의 망고는 동남아 지역에서 자생하는 나무였지만, 최근 우리나라의 김해 등 남부지방 일부와 제주도에서는 애플망고 품종을 재배하기 시작했습니다. 전반적인 기후 상승으로 인해 우리나라에서도 일부 품종은 재배할 수 있게 된 것이죠. 이미 시중에서도 국내산 애플망고를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망고나무의 생육 온도가 24~27도이고 겨울에도 15도 이하로 내려가면 안 되기 때문에 아직 노지에서 재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다양한 품종 개발과 재배 환경 관리로 곧 우리나라에서도 더 많은 품종의 망고를 맛볼 수 있지 않을까요?
대량으로 재배하기는 어렵지만 가정에서는 반려 나무로서 망고를 기를 수 있는데요! 망고나무를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망고나무의 특징
망고나무는 인도 북부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인 나무로 나무의 키가 10~20m 정도 되는 대형나무 중 하나입니다. 원래는 우리나라에서 재배가 어려웠으나 최근 기후 상승으로 우리나라뿐 아니라 일본에서도 재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망고는 진하고 깊은 달콤한 맛으로 전 세계 어디서나 사랑받는 인기 과일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수입과 자체 재배가 활발하게 늘어나면서, 열대 과일 하면 가장 먼저 떠올릴 정도로 친숙한 과일이 되었죠.
망고를 먹을 때 주의할 것은 옻나무과이기 때문에 덜 익은 과일을 먹거나, 나무의 수액이 피부에 닿을 경우 알러지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망고나무는 열매를 수확하기 위해서는 기온과 일조량을 관리해주어야 합니다. 항상 고온다습한 환경을 유지해주고 항상 햇빛을 충분히 받아야만 맛있는 과일을 수확할 수 있는데요.
생육의 적정온도는 24~27도이고, 겨울철에도 최저기온 15도 밑으로 내려가지 않도록 해주어야 합니다. 이 이하로 내려가는 지역에서는 화분에 심고 겨울철에는 실내에서 기르거나, 온실에서 기르면서 온도 관리를 해주어야 합니다.
2. 망고나무 관리 방법
1) 망고나무 어디에 심을까요?
망고는 열대지역의 나무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김해 이남의 남부지방, 제주도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화분에 심어 실내나 온실에서 관리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햇빛을 좋아하여 늘 해가 잘 드는 양지에 두고 햇빛을 잘 받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망고나무는 뿌리가 곧고 길게 자라 잔뿌리가 없기 때문에 화분에 심을 때는 물이 잘 빠지는 흙을 준비해 심는 것이 좋습니다.
흙으로 부족한 양분은 유기질배합비료를 통해 보충해주는데요. 봄부터 가을까지 나무가 성장하는 기간에 두 달 간격으로 거름을 주어 성장을 촉진해줍니다.
2) 물은 어떻게 주어야 할까요?
망고나무는 고온다습한 기후를 좋아하므로 평상시에는 물을 듬뿍 주어 키우고, 11~12월의 휴면기에는 물을 적게 주는 것이 좋은데요. 살짝 건조할 정도로만 주면 됩니다.
3) 맛있는 열매를 수확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할까요?
망고나무는 자가결실성이 있는 나무이지만, 인공꽃가루받이를 통해 더욱 안정적으로 열매를 수확할 수 있습니다. 꽃이 만개하는 계절은 4~5월인데요. 꽃이 만개하면 붓, 솔 등을 이용해 꽃가루를 서로 훑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열매는 6~7월에 작게 달리기 시작하는데, 1송이에 열매 1~2개씩만 남기고 솎아내어, 남은 열매의 크기를 더 크게 하고 맛을 더 좋게 할 수 있습니다.
4) 가지치기는 어떻게 하나요?
망고나무의 가지를 고를 때는 나무의 원가지를 40~50cm 높이에서 자르고 원가지 3개를 키워줍니다. 각각의 원가지에서 버금가지가 나오게 하고, 다 자란 나무는 웃자람가지나 복잡해진 부분을 정리해 햇빛과 바람이 잘 통하게 합니다.
5) 열매는 어떻게 수확하나요?
망고 열매는 9~10월 사이 수확할 수 있습니다. 완전히 익은 열매는 저절로 나무에서 떨어지는데요. 나무가 높아지면 열매가 떨어지며 상할 수 있기 때문에 네트를 쳐서 떨어지는 열매를 보호하기도 합니다.
망고 껍질이 녹색에서 노란색 혹은 붉은색으로 변하고 나무에서 떨어지게 되면 맛있게 익은 망고를 맛볼 수 있습니다.
망고나무는 일조량 관리와 온도 관리가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우리나라의 대부분 지역에서는 야외 재배가 어렵지만 가정에서는 적정온도가 유지되어 키우는 것이 가능한데요. 향긋한 열매를 맛볼 수 있는 망고나무, 직접 키워보는 것은 어떨까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