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경제 이슈 공부

절세 혜택 투자 상품 ISA 계좌 특징과 연금저축 비교

by 지혜ish 2023. 5. 11.

ISA 계좌란?

ISA 계좌는 직역했을 때 개인 Individual 종합자산관리 Saving 계좌 Account를 의미합니다.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란 여러 가지의 금융 상품을 담을 수 있는 종합 계좌입니다.

 

펀드, ETF, 예금, 채권 등의 다양한 금융 상품을 통해 국민들이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기회를 마련해, 노후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설계한 계좌입니다.

 

처음 출시된 것은 2016년으로 소득에 상관없이 19세 이상의 성인이라면 누구나 가입을 할 수 있습니다. 소득이 있는 경우에는 15~19세의 미성년자도 가입이 가능합니다.

 

최소 가입 기간은 3년의 의무 기간이 있으며, 금액 한도는 연 2천만원 이내에서 운용이 가능합니다. 이 2천만원의 한도는 이월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음 해로 넘겨서 운용이 가능한데요 총 5회까지 이월하여 1억원까지 운용할 수 있습니다.

 

시중의 은행과 증권사에서 가입이 가능한데, 1인 1개의 계좌만 개설이 가능합니다.

 

ISA 계좌의 장점 

ISA계좌의 가장 큰 장점은 절세혜택입니다. 우리나라의 이자 등의 수익이 날 경우 15.4%의 세금을 적용받게 됩니다. 하지만 ISA 계좌에서는 정해진 한도 내에서 비과세로 세금 혜택이 주어지고, 정해진 한도에 초과한 금액에 대해서도 15.4%가 아닌 9.9%의 세금만 징수하게 됩니다.

 

유형 비과세 한도
일반형 비과세 한도 2백만원
서민형  비과세 한도 4백만원
(근로소득 연 5천만원 이하 혹은 종합 소득 기준 3천 8백만원 이하 가입 가능)
농어민형 비과세한도  4백만원 

 

또한 ISA 계좌 운용 시에는 세금을 "순이익에 대해서만" 징수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ISA 계좌를 통해 600만원 이자 이익을 얻고, 주식에서 300만원 손실을 보았을 경우 종합적인 순이익은 300만원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일반 계좌에서는 600만원의 수익에 대해서 세금을 징수하지만, ISA 계좌에서는 순이익인 300만원에 대해서만 세금을 매기게 됩니다.

 

위의 예시에서는 600만원에 대한 15.4%인 92만 4천원의 세금을 내야 하는데, ISA 계좌에서는 일반형일 경우 300만원 중 200만원에 대해서는 세금이 없고, 100만원에 대해서 9.9%의 세금을 매겨 세금을 9만 9천원 내게 됩니다.

 

똑같은 수익을 내고도 92만원과 9만 9천원이라는 10배의 세금을 물게 되는 것이지요.

 

ISA 계좌 유형

ISA 계좌는 크게 세 가지 종류로 나뉘는데요. 본인의 투자 성향에 따라서 선택하여 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임형 신탁형 중개형 (21년 출시)
운용 전문가 본인 본인
특징 은행의 전문가에게 일임해 운용 위탁계좌처럼 본인이 직접 상품을 선택해 운용 증권사에서만 가입,
국내 주식을 운용할 수 있음
가입자 약 21만 명 약 89만 명 약 351만 명

 

ISA 계좌와 연금저축 비교

세금혜택이 주어지는 투자 상품 중 대표적인 것이 연금저축 계좌가 있는데요. ISA 계좌와 연금저축 계좌의 특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각 상품의 특징을 잘 보고 투자 성향에 맞추어서 상품을 선택해 보세요!

  ISA 계좌 연금저축
목적 중기 목돈 마련 노후 자금 마련
의무 가입 기간 3년 5년
인출 원금 인출 가능 / 수익 불가 55세 이후 수령 가능 / 중도 인출 불가
세제 혜택 일반형 200 / 서민형 400만원 비과세 매년 600만원 세액 공제
주식투자 국내 주식 투자 가능  개별 주식 투자 X / ETF 운용

댓글